그 리 고....♡/언 어 와 문 장

분명함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Clarity)

moon향 2014. 9. 17. 14:57

 

 

 분명함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Clarity)

서병채(PACE전문대학원교수)

 

 

비전은 분명함이 좋습니다. 무엇을 해야 하는지, 어디로 가야 하는지! 분명함이란 촉매적이기 때문에 좋은 것입니다. 본질적으로 화학적 촉매작용은 혼합물들 사이에 반응을 가속화 시킵니다. 다른 말로, 촉매작용은 억지로는 어느 것이라도 강화시키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것은 유기적인 움직임을 자유로이 하도록 해줍니다. 이런 방법에서, 분명함은 문화를 구성하는데 있어 절대적입니다. 그것은 사람들에게 아이디어, 가치, 태도, 행동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사로잡히도록 해 줍니다. 그것은 문화화(문화적응)의 과정에 가속화를 붙여줍니다. 조만간에 사람들은 포함될 것이고, 더 속도를 내게 될 것입니다. 지도자들이 먼저 분명함으로 시작하게 될 때에 일어나는 촉매작용의 다이나믹은 이렇습니다.

 

■ 분명함은 독특함을 거부할 수 없도록 해줍니다.

지도자의 역할은 하나님께서 독특하게 주신 것을 잘 경영하는 것이 요구되며, 하나님께서 독특하게 하시는 것에 잘 맞추는 것이 필요합니다. 지도자에게 있어 첫 단계는 이런 독특성에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그것을 분명히 하고, 그것을 매력있게 하고, 그것이 얼마나 놀라운 것인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럴때 만이 지도자는 독특성을 드러낼 수 있고, 교회의 선택적인 강점을 살릴 수 있는 것입니다. 먼저 독특함을 분명히 함이 없이는 완전한 이해를 구하기가 어렵습니다.

 

■ 분명함은 방향에 질문이 없게 해줍니다.

따르는 자들은 표시 안 된 길은 여행할 수 없습니다. 지도자의 나침반은 깨어질 수가 없습니다; 트럼펫 소리는 불분명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 교회에는 많은 사명들이 있는가, 또는 하나만 있는가? 우리 사역팀은 목적이 있는가, 또는 없는가? 만약 우리가 그것을 설명할 수 있다면, 아주 분명히 해야 합니다. 분명하게 표현하는 것은 중력작용(끌어당기는 힘)을 일으키게 됩니다. 그것을 정의할 수 있고 분명하게 하려면, 우리는 먼저 분명함을 가져야 합니다.

 

■ 분명함은 열심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지도자가 인도할 때에, 항상 열정이 생기게 됩니다. 많은 경우에 이것은 분명함과 함께 오게 됩니다. 따르는 자가 그것을 갖게 되는 순간에 열정이 생깁니다. 분명한 아이디어나 사명을 붙잡게 되는 경험은 사람들로 하여금 그것을 나누고 싶어 하도록 해줍니다. 나누는 것이 쉽게 되는 것은 그것이 분명함에 직접적으로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열정과 분명한 아이디어가 만날 때, 그 열정은 쉽게 퍼질 수가 있읍니다. 그러므로 직접적인 전염은 먼저 분명함이 요구됩니다.

 

■ 분명함은 일을 의미 있게 해줍니다.

일이란 것은 쉽게 일상적이 되 버립니다 - 무디고, 희미해지고, 중요성이 없어지고.... 지도자의 역할은 벽돌 만드는 교인들이 자신들의 벽돌은 결국 크고 아름다운 건물이라는 것을 항상 보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분명함은 더 큰 현실을 보도록 마음의 문을 열어주는 것입니다. 먼저 분명함이 없이는 의미를 심어줄 수가 없습니다.

 

■ 분명함은 시너지를 가능하게 해줍니다.

협력이란 잘못하면 에너지를 옆으로 새나가게 해버립니다. 왜 그런고 하니, 세가지가 그 대표적 이유인데 불신, 이기주의, 그리고 분명함입니다. 이것들이 없으면 협력은 약해집니다. 그런데 분명함의 결여가 이 세가지 중에 가장 취약한 것임을 보게 됩니다. 지도자들은 함께 일하는 것이 무엇과 같은지에 대해 분명함이 부족합니다. 개인적인 사역진행을 깨어 부수는 데에는 분명함이 첫 번째로 요구됩니다.

 

■ 분명함은 성공을 가늠하게 해줍니다.

모든 사람은 승리자가 되기 원합니다. 그러나 많은 교회들에 있어, 사람들은 승리하는 방법을 모릅니다. 함께 터치다운하여 점수를 내는 것이 어떤 것인지? 내가 변화를 주고 있는지 아닌지? 승리의 그림을 그려주어서 성취를 위해 사람들을 풀어놓는 것에는 먼저 분명함이 요구됩니다.

 

■ 분명함은 계속 초점을 맞추게 해줍니다.

헨리포드는 말하기를 ‘인간에게 가장 연약한 부분은 한 번에 너무 많은 것을 하려고 한다’는 것입니다. 좋긴 하지만 최상에 대해 적이 될 수도 있는 것에 대해 ‘아니오’라고 말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무엇이 가장(the most) 중요한 것인지에 대한 분명함으로부터 나온 확신을 가져야 합니다. 만약 집중의 비밀이 제거된다면, 또는 먼저 분명함이 없이는 우리는 그것을 할 수가 없습니다.

 

■ 분명함은 리더자를 신뢰하게 해줍니다.

묘책(특효약) 증후군은 많은 지도자들로 하여금 무기력하게 만듭니다. 계속적으로 또 수년동안 연결 안되는 아이디어를 적용시키다 보면, 교회성도들을 최상에서는 조심하게 만들고 최악에서는 환상에 빠지게 합니다. 실제적인 비전적 리더십은 단지 많은 창조적 아이디어들을 갖는 것만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추진력을 세워나가는 분명함속에서 창조성을 갖습니다. 이런 분명함으로부터 지도자의 일관성과 열정이 더 신뢰될 수 있는데, 따르는 자들은 교회 안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습득(내면화)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지도자들은 먼저 분명히 함으로 더 신뢰를 얻을 수 있어야 합니다.

 

■ 분명함은 불확실한 것에도 가까이 하기 쉽게 만듭니다.

미래에 대해 두려워하는 것은 인간의 본성입니다. 그것은 사람들을 마비시켜 그들로 하여금 용기를 가지고 살며 하나님 나라를 위해 솔선수범하여 투자하는 것으로부터 단념하게 합니다. 지도자는 희망과 기대를 갖게 하는 분명함으로 불확실성을 깰 수 있읍니다. 마커스 버킹햄(Marcus Buckingham)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두려움을 확신으로 바꾸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분명히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생생한 용어들로 당신의 행동을 말, 이미지, 그림 등을 통해 미래를 정의하는 것이다. 그리고 당신이 어디 있든지 모든 사람이 볼 수 있게 하여, 우리가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 알게 하는 것이다.” 알지 못하지만, 불확실하지만 더 나은 미래로 사람들을 향하도록 하면서 이끌어 가려면, 먼저 분명함이 요구됩니다.

-끝

 

Note

Buckingham, Marcus. The one Thing You Need to Know. New York: Free Press, 2005, p. 145.

출처 http://blog.daum.net/lpm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