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 속에서 만들어지는 핵산을 왜 먹어야 될까?
활성산소란?
우리가 호흡하는 산소와는 완전히 다르게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산소입니다.
환경오염과 화학물질, 자외선, 혈액순환장애, 스트레스 등으로 산소가 변형된 것이다.
이렇게 변형된 산소인 활성산소는 사람 몸속에서 산화작용을 일으킨다.
*산화작용( 쇠가 녹스는 것과 같이 사람에게 일어나는 산화는 세포가 손상되는 것)*
이렇게 되면 인체의 세포막, DNA, 그 외의 모든 세포 구조가 손상당하고 손상의 범위에 따라 세포가 기능을 잃거나 변질된다.
그리고 세포내의 핵산(DNA, RNA)을 손상시켜 핵산 염기의 변형과 당의 산화분해 등을 일으켜 돌연변이나 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생리적 기능이 저하되어 각종 질병과 노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현대인의 질병 중 약 90%가 활성산소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구체적으로 그러한 질병에는 암 ·동맥경화증 ·당뇨병 ·뇌졸중 ·심근경색증 간염·
신장염·아토피·파킨슨병, 자외선과 방사선에 의한 질병 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질병에 걸리지 않으려면 몸속의 활성산소를 없애주면 된다.
그런데 고도로 발달해가는 산업화 사회에 따르는 각종 오염으로 인하여
우리 체내에는 적정량 이상의 활성산소가 생겨, 이것이 도리어 인체의 세포까지
공격하게 되어 여러 가지 병의 원인물질이 되며 궁극적으로 노화(老化)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것이 활성산소가 유해산소란 또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이유입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활성산소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을까요??
그것은 다름 아닌 활성산소로부터 피해를 줄이는 항산화물질을 체내에 보충하여
활성산소로부터 상처 받은 세포를 지키는 것입니다 인체 내에서도 항산화 물질이
자연히 생성되나 40세를 넘으면 항산화 물질을 생성하는 능력이 현저히 감소하여
활성산소의 피해를 받는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