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난곬族 - 백석
명절날 나는 엄매 아배 따라 우리 집 개는 나를 따라 진할머니 진할아버지 가 있는 큰집으로 가면
얼굴에 별 자국이 솜솜 난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걸이는 하로에 베 한 필을 짠다는 벌 하나 건너집엔 복숭아나무가 많은 新里 고무 고무의 딸 李女 작은 李女
열여섯에 사십이 넘은 홀아비의 후처가 된 포족족하니 성이 잘 나는 살빛이 매감탕 같은 입술과 젖꼭지는 더 까만 예수쟁이 마을 가까이 사는 土山 고무 고무의딸 승녀承女 아들 承동
六十里라고 해서 파랗게 뵈이는 山을 넘어 있다는 해변에서 과부가 된 코끝이 빨간 언제나 흰옷이 정하든 말끝에 설게 눈물을 짤 때가 많은 큰곬 고무 고무의 딸 洪女 아들 洪동이 작은洪동이
배나무 접을 잘하는 주정을 하면 토방돌을 뽑는 오리치를 잘 놓는 먼 섬에 반디젓 담그려 가기를 좋아하는 삼춘 삼춘엄매 사춘 누이 사춘 동생들
이 그득히들 할머니 할아버지가 있는 안간에들 뫃여서 방안에서는 새옷의 내음새가 나고
또 인절미 송구떡 콩가루차떡의 내음새도 나고 끼때의 두부와 콩나물과 볶운 잔디와 고사리와 도야지비계는 모두 선득선득하니 찬 것들이다
저녁술을 놓은 아이들은 외양간 섶 밭마당에 달린 배나무 동산에서 쥐잡이를 하고 숨굴막질을 하고 가마 타고 시집가는 노름 말 타고 장가가는 노름을 하고 이렇게 밤이 어둡도록 북적하니 논다
밤이 깊어가는 집안엔 엄매는 엄매들끼리 아르간에서들 웃고 이야기하고 아이들은 아이들끼리 옿간 한 방을 잡고 조아질하고 쌈방이 굴리고 바리깨돌림하고 호박떼기하고 제비손이구손이하고 이렇게 화디의 사기 방등에 심지를 멫 번이나 독구고 홍게닭이 멫 번인나 울어서 조름이 오면 아릇목싸움 자리싸움을 하며 히득거리다 잠이 든다 그래서는 문창에 텅납새의 그림자가 치는 아츰 시누이 동세들이 욱적하니 흥성거리는 부엌으론 샛문 틈으로 장지문 틈으로 무이징게국을 끌히는 맛있는 냄새가 올라오도록 잔다
[1연] 명절날 큰집에 가던 어린 시절의 기억
별 자국이 솜솜 난 : 마마(천연두)로 얽은 자국을 가리킴.
말수와 같이 눈도 껌벅거리는 : 말할 때마다 눈도 껌벅거림 →자기표현이 자유롭지 못하고 어눌한
하루에 베 한 필을 짠다는 : 우직하니 일만 하는 성격
벌 : 벌판 / 신리(新里) : 마을 이름 / 이녀(李女) : 이씨 여자
포족족하니 : ‘뾰로통하니’와 유사한 말로, 노여워하는 빛이 얼굴에 나타나는 모양
매감탕 : 엿을 고아 내거나 메주를 쑤어 낸 솥에 남은 진한 갈색의 물
코끝이 빨간 : 남몰래 많이 울어서
언제나 흰옷이 정하던 : 과부이기 때문에 몸 간수를 잘하는
토방돌 : 처마 밑 안쪽으로 돌려가면 놓은 돌. 섬돌
오리치 : 오리는 잡는 데 쓰는 평안북도 지역 특유의 올가미
반디젓 : 밴댕이젓 / 삼촌엄매 : 숙모
[2연] 큰집에 모이던 여러 명의 친척들에 대한 소개
안간 : 안채 / 끼때 : 식사 때
선득선득하니 : 서느런 느낌이 드는 / 찬 것들 : 북쪽 지역임을 드러냄.
[3연] 큰집 방 안의 정경과 다양한 음식
저녁술 : 저녁 숟가락 / 숨굴막질 : 숨바꼭질 / 조아질 : 공기놀이
쌈방이 : 주사위 같은 평안북도 지역의 놀이 기구 / 바리깨 : 주발 뚜껑
호박떼기 : 앞 사람의 허리를 잡거나 서로 팔짱을 끼고 있으면 술래가 한 사람씩 떼어놓는 놀이
제비손이구손이 : 서로 마주 앉아 다리를 엇갈리게 끼우고 박자에 맞춰 다리를 세며 노는 놀이
화대의 사기방등 : ‘사기방등’은 ‘사기로 만든 등’ → 등잔걸이의 사기 등잔불
홍게닭 : ‘새벽닭’의 평안도 사투리 / 히드득거리다 : 히히덕거리다
텅납새 : 추녀(네모지고 끝이 번쩍 들린, 처마의 네 귀에 있는 큰 서까래)
욱적하니 : 한곳에 모여 조금 수선스럽게 들끓으니
무이징게국 : 삶은 무를 꼭 짜 두었다가 잔치 때 다시 끓이는 국
[4연] 흥겹게 놀면서 풍요롭게 명절을 쇠던 기억
여우난 곬 ; 백석 시인의 태어난 마을 ( 평안북도 정주 갈산면 익성동 1013호)
백석 시인 ( 1912년 7월 1일 ~ 1996년 1월 )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라는 시로 유명한 백석( 백기행 )은 이북출신으로
"김소월"과 같은 오산학교를 다녔으나, 해방후 북한에 남아 있었으므로 남북분단의 대립때문에 조명받지 못한 천재시인이다.
그는 1930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단편소설부문에서 < 그 母와 아들 >로 19세의 나이에 화려하게 등단하였다.
1936년 시집 < 사슴 >으로 시작활동을 본격화한 그는 어느 문학동인이나 유파에 소속되지 아니하고 독자적 활동을 하였으며,
이 시집은 100부 한정판으로 발간되자 마자 동이나서 윤동주 시인은 이 시집을 구하지 못해서 육필로 필사하여 애독하였다고 한다.
"남의 정지용, 북의 백석" 이라는 말이 있을 만큼,고향의 원초적 자연과 인간을 대상으로 토속적인 언어를 형상화하는 재능을 보였으며,
일본유학을 한 인텔리 기자 출신으로 6개국어에 능통하였으면서도 그의 시는 서구적이지 않으며 민족의 정서와 전통적인 언어를 보둠었다,
북방의 한 산골 마을에서 향년 84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타의추종을 불허한 번역작업을 많이 하였다.
작년 2012년에는 백석시인 탄생 100주년을 맞아 동시 2편과, 번역본 40여권이 새로 발굴되었는데,
이는 백석시인에 대한 자료를 평생 수집했던 아마추어 전문가와 일반인 5명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한다.
이것이 바로 "백석앓이♥" 인 것이다.
또한 그는 한국의 시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시인이며, 현대의 비평가들이 가장 많이 연구하는 시인이기도 하다.
"이숭원" 문학평론가 는 그를 가리켜 "한국시가 창조한 가장 개성적인 미학" 이라고 평한다.
'詩 詩 詩.....♡ > 백 석 & 형 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 - 백석 (0) | 2013.12.12 |
---|---|
통영 - 백석 (0) | 2013.12.12 |
[스크랩] 천재 시인 백석 탄생 100주년 (0) | 2013.12.03 |
[스크랩] 삼각산 길상사와 시인 백석의 연인 자야(김영한)의 사랑이야기 (0) | 2013.11.13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 백석 (0) | 2013.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