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 詩 詩.....♡/떠 오 르 는 詩

슬픔의 왕 - 김상혁, 곡시(哭詩) - 문정희

moon향 2017. 1. 19. 23:37

슬픔의 왕  - 김상혁

 

 

 

나는 나보다 슬픈 사람을 다섯이나 알고 있습니다 그중에는 몽유병자, 주정꾼, 어린 자식을 둘이나 잃은 부인도 있어요 나는 그들을 다 병원에서 봤습니다

 

잠결에 자신을 찔렀고, 취해서 애인을 때렸고, 아이들이 바다에서 끝내 돌아오지 못했다네요 너는 어떻게 되었니? 너도 우리만큼 슬프니? 나에게 질문하였습니다

 

하나같이 슬픔의 왕들이에요 나에게도 병원이 필요하지만 나 같은 게 병원에 와도 되는 걸까, 이런 슬픔에도 치료가 필요할까, 동그랗게 둘러앉았는데 나는 고개도 못들고

 

자식처럼 키우던 고양이를 베란다 밖으로 던진 얘기, 잘린 손이 아파서 잠을 못 잔다는 얘기, 병든 엄마가 지겨워 목을 조른 적이 있다는 얘기를 조용히 듣고 있었습니다

 

그중에는 우울증, 발모벽, 공황장애, 자기 집에 두 번이나 불을 지른 청년도 있어요 나는 그들을 다 병원에서 봤습니다 이야길 들어주는 의사도 나보다는 슬픈 사람이라서

 

그는 어릴 적 다섯 번 자해했고 말하자면 이건 좋은 여섯 번째 삶이라네요 나는 그렇게 슬픈 사람을 여섯이나 알고 있습니다 타인을 잃고, 자기를 잃고, 결국 자기 생각까지 망가뜨렸다가

 

병원에 와서 자기 생각을 찾고, 자기를 찾고, 결국 타인마저 고양시키는 그들은 하나같이 슬픔의 왕들이에요 되게 망쳐버린 부분이 있고 꼭 되찾고 싶은 생활이 있습니다

 

너무 슬픈 땐 무서운 게 없더라네요 아무래도 내겐 공포를 지나칠 수 있는 슬픔 같은 건 없으니까, 내가 무언가를 말해도 되는 걸까, 나의 멀쩡한 집과 가족을 어떻게 설명할까

 

의사가 미소 짓습니다 괜찮으니 이제는 제 이야기를 해보라네요 그냥 슬픔의 다음 차례를 기다리는 중인데, 이야기 속에서 나는 얼마든지 기뻐할 수 있는데요

 

 

 — 시집『다만 이야기가 남았네』(2016.11)에서

 

 

김상혁 / 1979년 서울 출생. 2009년 《세계의 문학》으로 등단. 시집 『이 집에서 슬픔은 안 된다』『다만 이야기가 남았네』.

 

 

 

 

곡시哭詩(탄실 김명순*을 위한 진혼가)

 

 - 문정희

 

 

한 여자를 죽이는 일은 간단했다.

유학 중 도쿄에서 고국의 선배를 만나 데이트 중에

짐승으로 돌변한 남자가

강제로 성폭행을 한 그날 이후

여자의 모든 것은 끝이 났다.

출생부터 더러운 피를 가진 여자!  처녀 아닌 탕녀!

처절한 낙인이 찍혀 내팽개쳐졌다.

자신을 깨워, 큰 꿈을 이루려고 떠난 낯선 땅

내 나라를 식민지로 강점한 타국에서

그녀는 그때 열아홉 살이었다.

뭇 남자들이 다투어 그녀를 냉소하고 조롱했다.

그것도 부족하여 근대 문학의 선봉으로

새 문예지의 출자자로 기생집을 드나들며

술과 오입의 물주였던 당대의 스타 김동인은

그녀를 모델로 '문장' 지에

소설 '김연실전'을 연재했다.

그녀에게 돌이킬 수 없는 사회적 성폭력,

비열한 제2의 확인 사살이었다.

이성의 눈을 감은 채, 사내라는 우월감으로

근대 식민지 문단의 남류(男流)들은 죄의식 없이

한 여성을 능멸하고 따돌렸다.

창조, 개벽, 매일신보, 문장, 별건곤, 삼천리, 신여성,

신태양, 폐허, 조광**의 필진으로

잔인한 펜을 휘둘러 지면을 채웠다.

염상섭도, 나카니시 이노스케라는 일본 작가도 합세했다.

그리고 해방이 되자 그들은 책마다 교과서마다

선구와 개척의 자리를 선점했다.

인간의 시선은커녕 편협의 눈 하나 교정하지 못한 채

평론가 팔봉 김기진이 되었고

교과서 편수관, 목사, 소설가 늘봄 전영택이 되었고

어린이 인권을 앞세운 색동회의 소파 방정환이 되었다.

김동인은 가장 큰 활자로 문학사 한가운데 앉았다.

처음 그녀를 불러내어 데이트 강간을 한

일본 육군 소위 이응준은

애국지사의 딸과 결혼하여 친일의 흔적까지 무마하고

대한민국 국방 경비대 창설로, 초대 육군 참모총장으로

훈장과 함께 지금 국립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탄실 김명순은 피투성이 알몸으로 사라졌다.

한국 여성 최초의 소설가, 처음으로 시집을 낸 여성 시인,

평론가, 기자, 5개 국어를 구사한 번역가는

일본 뒷골목에서 매를 맞으며 땅콩과 치약을 팔아 연명하다

해방된 조국을 멀리 두고 정신병원에서 홀로 죽었다.

소설 25편, 시 111편, 수필 20편, 희곡• 평론 등 170여 편에

보들레르, 에드거 앨런 포를 처음 이 땅에 번역 소개한

그녀는 처참히 발가벗겨진 몸으로 매장되었다.

꿈 많고 재능 많은 그녀의 육체는 성폭행으로

그녀의 작품은 편견과 모욕의 스캔들로 유폐되었다.

이제, 이 땅이 모진 식민지를 벗어난 지도 칠십여 년

아직도 여자라는 식민지에는

비명과 피눈물 멈추지 않는다.

조선아, 이 사나운 곳아, 이담에 나 같은 사람이 나더라도

할 수만 있는 대로 또 학대해보아라.

피로 절규한 그녀의 유언은 오늘도 뉴스에서 튀어나온다.

탄실 김명순!  그녀 떠난 지 얼마인가.

이 땅아!  짐승의 폭력, 미개한 편견과 관습 여전한

이 부끄럽고 사나운 땅아!

 

 

* 김명순(1869~1951) 호 탄실.

1917년 춘원 이광수에 의해 등단한 소설가. 많은 작품을 썼지만 일본 유학 중 열아홉 살에 고향 선배로부터 데이트 강간을 당한 후 조롱과 따돌림을 당하고, 역시 고향 선배인 김동인의 소설 '김연실전'의 실제 인물로 알려져 문단에서 유폐된 한국 여성 최초의 작가.

 

** 김명순을 소재로 냉소와 멸시의 글이 실린 잡지들.

 

 

 ㅡ《문예중앙》 2016년 겨울호

 


문정희 / 1947년 전남 보성 출생. 1969년《월간문학》신인상으로 등단. 시집『나는 문이다』『카르마의 바다』『응』등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