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鄭芝溶) 정지용(鄭芝溶) 시인에 대하여 : (1902~1950) 섬세하고 독특한 언어를 구사, 생생하고 선명한 대상 묘사에 특유의 빛을 발하는 시인 정지용. 한국현대시의 신경지를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 그는 이상을 비롯하여 조지훈, 박목월 등과 같은 청록파 시인들을 등장시키기도한 시인이었다. 1902년 .. 그 리 고....♡/문 화 계 소 식 2013.10.11
문향(聞香)하다 - 펌 꽃향기를 맡는다는 표현으로 "문향하다"라고 했습니다. 은암미술관 기획초대전 문향 참여작가 다음 - 진시영 - 박태우 - 한희원 - 서미라 - 허달용 - 송필용 - 황순칠 전시기간 2013.3.22 - 4. 25 문향에서의 '문'이란 '소리를 듣는다'라는 일차원적인 감각에서 한 단계 발전한 단계로 '이해하다, .. 그 리 고....♡/문 화 계 소 식 2013.10.08
서정주(徐廷柱) 서정주(徐廷柱) 호는 미당(未堂) "모국어의 연금술”이라고 할 수 있을 언어적 재능과 더불어 “우리말 시인 가운데 가장 큰 시인”이라고 일컬어지는 미당 서정주. 1915년에 탄생한 미당은 85년에 걸친 생애 동안, 1936년 등단 이후 무려 64년에 걸친 장구한 시작 생활을 통해서 900여 편의 시,.. 그 리 고....♡/문 화 계 소 식 2013.10.04
신경림(申庚林) 신경림(申庚林) (1935~ ) 1935년 충청북도 충주에서 태어나 동국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했다. 1956년『문학예술』에 『갈대』 『墓碑』등이 추천되어 시단에 나오게 되었다. 그는 우리나라 각 지방을 돌아다니며 사람 사는 이야기와 민요들을 모으는 데 관심을 기울였으며 만해문학상, 한국.. 그 리 고....♡/문 화 계 소 식 2013.10.01
김소월(金素月) 김소월(金素月) 金素月, 본명:김정식 한국 서정시의 기념비적 작품인 「진달래꽃」의 시인. 1902년에 태어났으며 본명은 정식으로 평북 구성 출생이다. 남산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15년 오산학교에서 조만식과 평생 문학의 스승이 될 김억을 만났다. 오산학교 교사였던 김억의 지도와 영향.. 그 리 고....♡/문 화 계 소 식 2013.09.25
[스크랩] 색채의 마술사 `마르크 샤갈(Marc Chagall)의 명화 색채의 마술사 '마르크 샤갈(Marc Chagall)의 명화 (1887~1985 france) <시인-The Poet >(Half Past Three) 1911 <초록 바이얼리니스트-Green Violinist > -유대인 극장 패널화-음악,1923-24 <산책-Walk> <라일락속의 연인들-Lovers in the Lilacs > 1930 <연인들-Les Armoureaux de Vence> 꽃 그늘의 연인들 LES AMOU.. 그 리 고....♡/문 화 계 소 식 2013.09.25
유치환(柳致環) 유치환(柳致環) 호:청마(靑馬) 한국 근대문학사의 거목으로 꼽히는 시인으로, 1908년 음력 7월 14일 경남 거제시 둔덕면에서 8남매 중 차남으로 출생했다. 극작가 동랑 유치진이 청마의 맏형이다. 동래보통학교와 일본 부장중학교를 거쳐 1927년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진학하였으나, 1928년 학.. 그 리 고....♡/문 화 계 소 식 2013.09.24
김현승(金顯承) 김현승(金顯承) 김현승(金顯承. 1913~1975)은 전남 광주에서 태어났으며, 목사인 부친이 평양으로 전근하게 되자 그곳에서 성장하여 평양숭실중학을 졸업하고, 1937년 숭실전문학교 문과를 나왔다. 1951년부터 전남 광주 조선대. 전북대 등의 강사를 거쳐, 숭실대 문리대 교수로 재직 중 1975년 .. 그 리 고....♡/문 화 계 소 식 2013.09.23
김수영(金洙暎) 김수영(金洙暎) : (1921~1968) 자유를 살아 낸 시인! 김수영은 우리 땅에 우리말로 거대한 뿌리를 내린 사람이다. 그는 시인이자 혁명가였고, 강력한 인문정신의 소유자였다. : 작품 읽기 : ■ 달나라의 장난 팽이가 돈다. 어린아이이고 어른이고 살아가는 것이 신기로워 물끄러미 보고 있기를.. 그 리 고....♡/문 화 계 소 식 2013.09.20
노천명(盧天命) 노천명(盧天命) :저자에 대하여: 한국의 시인. 황해도 장연 출생이다. 진명학교(進明學校)를 거쳐, 이화여전(梨花女專) 영문학과를 졸업하였다. 그녀는 이화여전 재학때인 1932년에 시 『밤의 찬미』,『포구의 밤』등을 발표하였다. 그후 『눈 오는 밤』,『망향』등 주로 애틋한 향수를 노.. 그 리 고....♡/문 화 계 소 식 2013.09.13